2년에서 3년마다 한 번씩 돌아오는 '윤달' 사실 음력생일로 윤달이 아닌 사람들은 별 관심이 없을 수 있는 주제이지만 음력을 사용하는 나라의 국민으로 한 번쯤은 읽어두면 좋을 거 같아 윤달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3년은 윤달이 껴있는 해입니다. 윤달은 왜 있는 것이며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윤달이란?
예로부터 윤달은 '썩은 달'이라고 하여 하늘과 땅의 신이 사람들에 대한 감시를 쉬는 기간으로 이 때는 불경스러운 행동도 신의 벌을 피할 수 있다고 합니다. 때문에 윤달기간에 조상님의 묘를 이장하거나 수의를 하는 풍습이 있다네요.
영어로는 LEAP MONTH입니다. 뛰어넘는 달이죠.
왜 윤달을 사용하는지 이유가 궁금했었습니다. 우리는 1달을 계산할 때 태음력을 이용합니다. 태음력은 달의 궤도를 바탕으로 셈하는 방법인데 우리가 알고 있는 음력은 중국식 태음태양력입니다.
달이 지구 주위를 한 바퀴 도는데 27.3일 정도가 걸린다고 합니다. 동시에 지구도 태양을 공전하면서 지구 기준으로 달이 한 바퀴 도는 시간은 약 29.5일이 걸린다고 해요. 우리는 1달을 30일에서 31일로 계산하고 있잖아요? 태음태양력으로 1달이 29.5일이고 12 달이면 354일이 됩니다.
1년은 365일인데 태음태양력 기준으로 354일로 계산되며 11일 정도가 모자라게 돼요. 1년에 11일이 모자라고 2년이면 22일이 모자라고 3년이면 33일 정도가 모자라게 됩니다. 0.5일~1일이니까 3년이 지나면 30일 정도가 모자란다고 보시면 돼요.
이 30일을 제대로 계산해주지 않으면 음력계산일이 엉망이 되어서 음력 5월이 겨울 11월에 있는 일이 생기게 됩니다. 30일이라는 1달을 보정해 주기 위해 윤달을 집어넣어 벌어진 차이를 맞춰주게 되는 거죠.
2. 윤달 예시로 알아보자.
2023년 음력 달력을 살펴보겠습니다.
음력 1월 1일은 설날에 시작됩니다. 양력 1월 22일이 음력 1월 1일입니다. 이제 2월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2023년 2월 20일은 음력으로 2월 1일이 시작됩니다. 여기까지는 음력이 제대로 계산되고 있습니다. 이제 3월로 넘어갑니다.
2023년 3월 21일은 음력 2월 30일입니다. 정상적이라면 양력 3월 22일은 음력 3월 1일이 돼야 하는데 윤달 2월 1일로 다시 카운트되었습니다. 글씨를 자세히 살펴보시면 '음 2.30' 다음 '윤 2.1'로 변경되신 게 보이실 겁니다. 2023년 윤달은 양력 3월 22일 윤달 2월 1일이 시작됩니다.
4월로 넘어가서 보면 양력 4월 19일이 윤달로 2월 29일입니다. 4월 20일이 음력 3월 1일로 정상 카운트 되는 것을 보실 겁니다. 3.22.~4.19. 까지가 2023년 윤달입니다. 이렇게 2~3년 사이에 윤달을 넣어 음력날짜도 365일을 맞춰주는 작업을 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이제는 양력만을 써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생일이나 경조사 챙기기 너무 헷갈리네요. 지금까지 윤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2. 일상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연봉 실수령액 표로 한 눈에 보자! (0) | 2023.01.14 |
---|---|
슬램덩크 극장판 [더 퍼스트 슬램덩크] 스포 없는 솔직 후기 (0) | 2023.01.11 |
2023년 청년도약계좌 6월에 출시되면 가입해야되나? (0) | 2023.01.05 |
2023년 최저시급 5.0% 인상 되었습니다. 확인해보세요. (0) | 2022.12.31 |
2023년 대체 공휴일 그리고 공휴일 총 정리 (0) | 2022.12.28 |
댓글